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원자질량단위(atomic mass unit)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h0ep5bwrFs [u]는 질량의 단위다. 원자 질량 단위 u, amu, Da 원자는 질량을 가진다. 분자는 원자로 구성되어 있기에 분자도 질량을 가진다. 물질은 분자로 구성되어 있기에 어떠한 물질이던 질량을 가진다. 즉 우리가 보는 사물이 가지고 있는 질량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 질량의 합이라고 볼 수 있다. 우리에게 익숙한 질량의 단위는 kg이다. 원자 입장에서 볼때 kg은 너무 큰 단위이므로 원자 단위에서 쓰는 질량 단위를 정했고 그것을 u,amu라고 한다. 1u의 질량의 \(6.022*10^{23}\)배를 1g이라고 한다. \(1[u]\times 6.022\times 10^{23}=1[g]\) (화학자 John Dalton의 업적을 기리.. Gradient (구배)는 그 점에서 가장 기울기가 급한 방향을 가르킨다. 공업수학을 처음 배우게 되면서 보게되는 \(\nabla\)이 문양은 나블라(nabla)라고 불리며 하프를 가르키는 그리스어 (nabla)에서 유래 되었다. 수학에서는 델(\(\nabla\)) 연산자라고 불린다. \(\nabla\)는 하프에서 유래되었다. [그림출처: wikipedia] 3차원 x,y,z좌표계에서 \(\nabla\)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. $$\nabla=\left(\frac{\delta}{\delta x}\vec i+\frac{\delta}{\delta y}\vec j +\frac{\delta}{\delta z}\vec k\right)\label{1}\tag{1}$$ 그리고 스칼라 함수 \(f\)에 \(\nabla\)를 내적한 gradient(구배)는 다음과같이 정의된다. $$grad.. 평면의 방정식 평면의 방정식의 의미를 벡터 내적과 관련지어 생각해보자우선 방정식이란 무엇일까? 방정식의 의미 미지수가 포함 된 식에서 그 미지수의 값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식이 항상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.$$(x+2)^2=x^2+4x+4$$위의 식과 같이 변수 x값이 어떤 값을 가지던지 항상 식이 성립하는 등식을 항등식(恒等式)이라고 한다. $$x^2+2=4$$이와 견주어 위와 같이 x의 값이 \(\sqrt 2\)또는 \(-\sqrt {2}\)가 되지 않으면 식이 성립하지 않는 즉 특정한 변수의 값만이 식을 성립하게 하는 식이 있다. 이를 방정식(方程式) 이라고 한다. 이때 식을 성립시키는 변수의 값을 그 방정식의 해(解)또는 근(根)이라고 한다. 그리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 1차식의 해는 1개 2차식의 해는 2개인것.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