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[제어공학] #1.State variable의 의미 State variable이란 무엇일까? system의 state variable은 system이 지금 어떤 상태에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변수이다. 제어에서 현재 시스템의 내부상태가 어떤지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. 다음의 예를 생각해보자 다음과 같은 그림에서 system의 상태를 알려주는 상태변수(state variable)는 \(x(t)\)이다. 우리가 원하는 출력이 \(y(t)=30\)이고 이는 a상태에 있는 system에 \(u(t)=10\)이라는 입력을 줄 경우 30이라는 출력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시간이 지남에 따라 system의 상태가 b로 바뀌었다면 아직도 우리는 10이라는 입력을 통하여 30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까? 출력 \(y(t)\)는 입력\(u(t)\)가 sy..
Convolution의 의미_4 : Convolution의 이해 이글을 읽기전에... 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continuous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LTI system Convolution +가 더하기의 연산자이듯 ×가 곱하기의 연산자이듯 * 는 Convolution의 연산자다. Convolution의 정의 [convolution의 정의]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신호f(t)가 system에 입력된다고 하자 [입력함수 f(x)] h(t)는 impulse signal에 대한 응답 system의 impulse response이다. 그리고 이 System은 LTI system이라 가정한다. [impulse response 함수] f(t)와 h(t)의 Convolution은 다음과 같이 읽을 수 있다..
Convolution의 의미_3 : LTI system 이글을 읽기전에...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continuous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Convolution_3 LTI System (Linear Time Invariant System) -선형이고 시간에 영향을 받지않는 시스템 1.)선형성(Linearity).다음의 유튜브 선형대수 영상 시리즈를 완주하면선형성에 대한 이해와 그 기하학적 의미에 대한 놀라움을 경험할 수 있다.(Essence of linear algebra라는 제목으로 총 15편이 있다.) 다음의 두 조건을 만족하면 그 시스템은 선형성을 가진다.조건 1. 조건2. 2)Time invariant time invariant는 신호에 대한 응답이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..
Convolution의 의미_2 : Continuous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이글을 읽기전에...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Convolution_2Continuous time 에서 Unit impulse function (Dirac delta function) 이산시간(Discrete time) 에서 단위 임펄스 함수(unit impulse function)δ(n)은 n=0 에서 1이고 n≠0 에서는 0의 값을 갖는 함수다. 연속시간(Continuous time) 에서 단위 임펄스 함수(unit impulse function)δ(t)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 [연속시간에서 단위임펄스 δ(t)의 정의] 이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유도 된다. 여기서 (1/Δ)×Δ= 1이기에 Δ의 값에 관계없이 구간의 넓이는 항상 1이다. [출처 Wikiped..
Convolution의 의미_1 : 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Convolution은 연산이다.더하기라는 연산의 연산자가 +이듯빼기라는 연산의 연산자가 -이듯 convolution이라는 연산의 연산자는 *이다. (곱하기와 비슷하게 생겼다.) convolution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위신호(Unit impulse signal)를 먼저 알아야한다, 이산시간(discrete time)과 연속시간(continuous time)에서 단위신호(Unit impulse)가 다르게 정의 되지만 실상 느낌은 비슷하다. discrete time에서 단위신호가 더 이해하기 쉬우므로 먼저 살펴보자 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δ(n)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 [discrete time에서의 unit impulse function 의 정의] δ(n)은 n=0..
중성자와 물질의 상호작용 (neutron interaction) 이번장에서는 중성자가 원자핵과 만났을 경우 일어나는 반응에대해 공부한다. [A중성자는 충돌하지 않고 B중성자는 원자와 반드시 충돌하여 어떠한 반응이든 일으키게 된다.] 그리고 중성자가 얼마나 빠르게 ,원자핵의 어느곳에 부딪히는가에 따라 다르게 튕겨나올수도, 흡수되는 등 일어나는 반응이 달라진다.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반응들이 있다. 탄성산란(elastic scattering) :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 후 에너지를 잃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튕겨나간다.비탄성산란(inelastic scattering) :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 후 에너지를 잃고(느려지고=감속되고) 다른방향으로 튕겨나간다.흡수(absorption) : 중성자가 원자핵에 흡수 된다. 고로 원자핵은 질량이 증가한다.핵분열(fission) : 중..
질량결손 (mass defect) 질량결손 (mass defect) 원자질량단위 1u는 탄소원자 한개 \(^{12}_6C\)의 질량을 12u라고 정의한 후 단순히 그것의 1/12 값을 1u 라고해서 정해진 질량단위이다. \(^{12}_6C\)의 핵(nucleus)은 양성자(proton) 6개와 중성자(neutron) 6개로 구성되어있다. 그리고 이 탄소원자 하나의질량은 12u 이므로 처음 [u]라는 단위를 접하게 되는 경우 양성자,중성자 하나의 질량을 1[u]라고 착각 하기 쉽다. 하지만 양성자의 질량은 \(m_{proton}=1.007276[u]\) 중성자의 질량은 \(m_{neutron}=1.008664[u]\)이다 그러므로 양성자 6개와 중성자 6개가 뭉쳐있는 12C 질량은 \(6m_{proton}+6m_{neutron}\)일것이므..
발산정리 (Divergence Theorem, 發散整理) 이전에 스칼라함수에 를 내적한 Gradient(구배)를 공부했다면 (Gradient F의 의미) 발산의 정의 이번엔 벡터함수에 를 취한 Divergence(발산)을 알아본다. , 인 두 벡터가 있다. [3차원에서 발산의 정의] div F(F의 발산)의 각 항들을 살펴보면 div F는 (x에 의한 F의 x방향성분의 증가율) + (y에 의한 F의 y방향성분의 증가율)+(z에 의한 F의 z방향성분의 증가율)이므로 크기만 가지는 스칼라 값임을 알 수 있다. 그런데 이 \(div F\) 를 벡터 F가 존재하는 도형의 모든 부피에 대해 적분을 취하게 되면 (=도형의 부피안에 있는 모든 점들의 \(div F\)값을 더해주면) 신기하게도 그 값이 도형의 면에서의 벡터 F를 적분 해준 값과 같다. (=도형의 바깥 면에 ..